(겸허한 마음으로 필사해 올린다)
예수 /서중석
서론 1
기독교 신앙은 역사상의 한 인물 나사렛 예수를 그리스도로 고백하는 데서 출발한다.
그러나 그 예수가 누구였고, 무엇을 가르쳤으며, 어떻게 행동했는지를 살펴보려 하자마자 우리는 난관에 부딪치게 된다. 예수에 관한 우리의 자료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이다.
특히 예수에 관한 비기독교적 자료들은 빈약하다.
주후 115~117년겅, 로마의 사가 타키투스는 그의 <연대기>에서 그리스도가 티베리우스 황제의 통치 기간 중, 총독 빌라도의 선고에 의해 처형되었다고 기록하고 있고,
수에토니우스는 그의 <열두 황제의 생애>에서 '크레이토스(그리스도)' 때문에 유대인들이 자주 소요를 일으키자 클라우디오 황제 (주후 41~54년)가 그들을 추방했다고 기록하고 있다. 그러나 이 로마 사가들은 예수라는 이름을 알지 못했고, 그리스도를 하나의 고유명사로 오해했다.
주후 111년경, 로마 황제 트라얀에게 보낸 플리니의 편지들 중 하나에, 소아시아에서 플리니 자신이 만났던 기독교인들이 언급되어 있으나, 이 편지는 물론 트라얀의 답장 속에서도 예수의 생애나 교훈에 관한 언급은 전혀 찾아볼 수 없다.
이러한 현상은 1세기의 예수나 그 추종자들의 운동이 적어도 당시 로마 제국의 눈에는 미미한 사건들로 비추어졌으리라는 추정을 가능하게 해준다.
한편, 주후 1세기에 활동했던 유대인 역사가 요세퍼스의 <고대사>에도 예수가 언급되기는 하나, 예수가 메이아였다는 보도를 포함한 그 해당 단락들은 기독교적으로 각색된 것이어서 예수에 관한 비기독교적 자료로 분류되기 어렵다.
유대교의 랍비적 작품들도 예수에 관해 건헐적으로 보도한다. 그런 작품들에는, 주후 200년경부터 편찬되기 시작한 히브리 법전인 <미쉬나>와 <미쉬나>에 관한 주석서 또는서충서로 350년~ 500년 경에 완성된 <탈무드>가 있다. 이 작품들은 주후 1세기에 활동했던 랍비들을 빈번히 인용하고 있다. 여기서 예수는 주로 '한 어떤 사람'으로 언급된다. 예수의 이름을 언급한다는 것 자체가 예수에게 과도한 명예가 되리라는 가정 때문에 이름을 억제시켰다.
예수는 여기서 비합법적인 인물로 암시된 채, 벤 스타다, 또는 벤 판디라, 또는 벤 판테라로 불리어졌다.
이러한 유대교의 랍비적 작품 속에 예수에 관한 역사적 사실이 어느 정도 보존되어 있는가 하는 근본적인 문제는 접어둔다 해도, 예수와 관련된 해당 단락 자체의 양이 극히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자료들은 우리의 주제를 위해서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.
'예수는 누구인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신의 길 인간의 길 / SBS 대기획 2008년 방영 4부작 (0) | 2019.04.26 |
---|---|
예수는 누구일까? (0) | 2019.04.26 |
예수 - 서중석. 서론 4 (0) | 2019.04.26 |
예수 - 서중석. 서론 3 (0) | 2019.04.26 |
예수 -서중석 서론2 (0) | 2019.04.2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