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예술인간의 기원

맑게 소외된 시간, 황홀한 시간

by 이숙경(2011canna@hanmail.net) 2015. 10. 1.

나는 나와 이 세계 사이에 얽힌 모든 관계를 혐오한다.

나는 그 관계의 윤리성과 필연성을 불신한다.

나는 맑게 소외된 자리로 가서, 거기서 새로 태어나든지 망하든지 해야 한다.

시급한 당면문제다.

 

소설가 김훈의 <공무도하가>의 작가의 말이다. 이미 몇 번이나 써먹은 구절이지만 오늘도 새롭게 다가온다.

모처럼 다정하게 실비가 내리는 아침, 우산을 들고 천변을 걸었다.

그리고는 '나와 이 세계 사이이 얽힌 모든 관계'를 찬찬이 돌아보았고

김훈처럼 '혐오'의 단계까지 나아가지는 않았을지라도 '부질없음'이라는 결론이 다시 내려졌다.

늘 부질없음으로 끝나는 관계들.

 

맑게 소외된 자리로 가서 새로 태어나든 망하든 해야 한다는 김훈의 말을 따라

맑게 소외된 자리로 가서 새로 태어나고 싶은 나는

집 앞 5분 거리에 있는 "대륙의 유일한 황제"에게 가려 했으나

쏟아지는 빗줄기의 어마무시한 굵기에 깜놀하여 11층에 주저앉고 말았다.

하지만

맑게 소외된 시간으로는 갈 수 있을 것 같다.

시월이니까.

 

보길도를 향하여 이런 빗속을 통과하는 친구가 부럽기 한량없지만

나도 빗속을 뚫고 어딘가 가고 싶지만 꾹 참고

2015년 4/4 분기 첫날의 오전을 얌전하게 맞이하고 있다.

감사

찬양

기도가 내면에 저 비처럼 쏟아지는군

 

황홀

한 시간이다.

 

'예술인간의 기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인간의 세 가지 특성-그레고리우스  (0) 2015.10.06
아우구스티누스 가라사대  (0) 2015.10.01
아뿔사, 추석과 주일이 겹쳤네  (0) 2015.09.27
피아노홀릭  (0) 2015.09.18
예술인간의 기원  (0) 2015.09.15